척추측만증이란?
척추측만증은 흔히 척추가 바르지 않고 옆으로 휘어진 증상으로 알고 있으나, 좀 더 정확히 말하자면 앞에서 볼 때 척추가 좌우로 휘어지고 옆에서 볼 때 앞뒤로 휘어져 있으며 척추체 자체도 회전 변형이 일어나 정상적인 만곡 상태가 소실되는 3차원적인 기형 상태를 의미합니다. 가장 흔한 청소년기형 특발성 척추 측만증에서는 일반적으로 신체의 기능 장애는 없으나 겉으로 보이는 변형이 문제가 됩니다. 그러나 비정상적으로 측만증을 보이는 환자가 심한 요통을 동반하고 있을 때는 원인 질환을 찾아보아야 합니다. 구조적 측만증의 경우에 치료하지 않으면 악화되어 더 큰 기형을 초래할 수도 있으며, 이때는 미용상의 문제뿐만 아니라 심장, 폐와 같은 내장 기관에도 영향을 주며 심할 경우 수명이 단축될 수 있기 때문에 조기에 발견해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척추측만증 원인
대부분의 척추 측만증은 원인을 모르는 특발성 척추 측만증인 경우가 많습니다. (약 80~85%) 그 이외의 발병 요인으로 다양한 학설이 제시되고 있지만 확실히 입증된 것은 없으며 대개 여러 가지 원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고 보는 것이 정설입니다.
척추측만증 증상
단골정형외과 척추측만 진단시스템
척추측만증 치료
특발성 척추 측만증의 치료는 크게 정기적인 관찰, 보조기 착용, 수술 등 3가지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습니다. 20도 이하의 유연한 만곡에 대해서는 3~6개월마다 방사선 검사를 포함한 세밀한 관찰을 계속하는 것이 필요하며, 성장기 아동 및 청소년의 경우 보조기를 이용한 교정으로 만곡의 진행을 늦출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만곡이 이미 상당한 정도로 진행되어 외관상 기형이 심하고 보존적 치료로 교정이 되지 않거나 교정이 되어도 유지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척추의 균형을 잡아주는 수술로써 치료받을 수 있습니다.